본문 바로가기

취향저격

영화<언터처블-1%의 우정> 줄거리, 실화, 감상평

반응형

영화 <언터처블-1%의 우정>

언터처블1%의 우정 개봉일 , 줄거리

 제목 : 언터처블 1%의 우정(Untouchable.2012)

 장르 : 코미디

 개봉일 : 2012.03.22

 감독 : 올리비에르나카체,에릭토레다노

 

 

상위 1% 백만장자 필립, 그는 패러글라이딩을 즐기다 사고로 얼굴 외 모든 감각이 사라지게 된. 필립이 간병인을 찾기 위해 면접을 보는 날 국가지원금을 받기 위해 서명받으러 온 드리스를 만나게 된다. 그는 거침없이 자유로운 성격의 드리스에게 호기심을 느껴 2주 동안 필립의 손발이 되어 간호를 해주신다면, 서명을 해주겠다고 한다. 오기가 발동해 엉겁결에 내기에 수락한 드리스는 필립의 저택에서 숙식 제공을 받으며 2주간 간호를 하기로 한다. 필립이 장애인이라는 고정관념 없이 한명의 인격체로 대하며 그의 소소한 일탈을 함께 한다. 그리고 드리스의 예술적 감각을 살릴 수 있도록 도와주고 흑인과 백인, 장애인과 비장애인, 부자와 가난한 자의 차이를 극복하고 우정을 쌓아간다.
필립은 펜팔로 만난 마음에 드는 여성을 자기 모습으로 직접 만나길 꺼리고, 있는 그대로를 응원하는 드리스는 여성과 만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는데, 필립은 오래기다리지 못하고 여성과 만남이 엇갈리게 된다. 
그리고 드리스의 사정으로 필립과 더 이상 함께 할 수 없게 되고, 드리스는 택배업을 하며 일상을 살아가고 필립은 드리스의 빈자리가 너무 커 삶의 재미를 잃어간다. 그러다 필립의 건강이 좋지 않아지자 필립의 집을 총괄 관리하는 욘이 드리스를 찾게 되고 필립의 모습을 보고 드리스는 다시 살아갈 수 있는 힘을 준다. 그리고 드리스는 엇갈렸던 만남을 다시 일러주고 해피엔딩이 된다.

 

영화 속 주인공의 실존인물

영화 속 실존 인물인 필립은 모로코에서 살고 재혼하여 두 딸을 두고, 그리스(에브델)는 사업을 운영하며 가정을 꾸렸다
실존 인물들은 영화처럼 흑인과 백인이 아닌, 인물 모두 백인이다.
영화는 극의 극명한 차이를 보여주기 위함인 거 같다. 상위 1%와 하위 1%와 함께 인종 차별에 대한 상하관계를 보여주기 위함이라고 생각이 된다. 유럽에서 막강한 영향력이 있는 샴페인 회사 사장이고 그의 가문은 프랑스 정계에서 인정받는 귀족이라고 한다. 그런 그의 사고로 의기소침해 있던 모습을 웃게 하고 희망을 준 에브델과 우정을 쌓아가고 있다.

영화를 보고

영화를 보고 '우리 사회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과연 선진국에 걸맞게 높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필립이 도우미를 구하기 위해 면접 보는 장면에서 모두 장애인은 불편한 모습과 도와야 한다는 인식이 가득한 발언과 모습이었다. 하지만 드리스는 필립의 어떤 모습이든 그저 한 인격체로 받아들이고 그가 불편한 몸을 가졌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행동하는 모습을 보면서 나는 과연 어떤 사고를 가지고 장애인들을 대하고 있겠냐는 의문을 가진다.
나 또한 면접을 보던 그들과 다르지 않았을 거라 생각이 든다. 드리스처럼 감각이 없는 필립의 다리에 뜨거운 물을 부어보거나, 혈액순환을 위한 스타킹을 신겨주는 장면에서 필립에게 스스로 신으라며 스타킹을 던지는 장면과 호흡곤란이 발생했을 때 종이봉투 대신 문을 열고 나가 공기를 쐬어주는 장면은 정말 인상 깊었다.

 

우리사회의 인식 변화

우리가 장애인들을 위해 사회에 편의는 과연 누굴 위한 것인가도 생각해 보았다.
지하철에 장애인전용 엘리베이터가 생기기 전 휠체어 리프트는 편의라고 생각하여 만들었겠지만, 실질적으로 사고의 위험이 많아 사상자도 많고, 운행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것도 많았다.
또 교통수단을 버스로 예로 든다면 인도와 버스의 승차 높이를 맞추기 위해 버스의 구조가 바뀌었지만, 비장애인들이 버스를 탈 때도 버스는 인도와 가까이 붙어 바퀴가 굴러 타서 올라갈 수 있게 되어있지 않다.
그리고 그런 불편이 있을걸 알기에 휠체어를 타고 버스를 타지 않을 것이다. 또한 장애인콜택시의 경우 승하차 시 뒤에 차량 간격은 최소 5m는 되어야 할 것이다. 택시든 일반 차량이든 2m내로 바짝 붙어 기다리는 장면도 많이 보았다.
장애인은 후천적인 것이 더 크다. 그러므로 우리 모두 알 수 없는 것이다. 사회의 변화는 장애인들을 위한 것이 아닌, 나 또한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는 사고로 시작되어 나아가야 할 것이다. 나는 아니라는 생각이 더 불편한 사회를 만들어 가고 있는 거 같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