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산회계,세무

원가 · 조업도 · 이익 분석

반응형

1. 원가 · 조업도 · 이익분석의 개요

원가 · 조업도 · 이익(CVP) 분석은 조업도와 원가의 변화가 이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 기법으로서 기업의 의사결정 문제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2. CVP분석의 가정 및 한계

CVP분석은 여러 가지 제한된 가정을 기초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가정은 CVP분석을 적용할 때 한계로 작용할 수도 있다.
이 중 중요한 가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원가는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로 분류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므로 조업도의 변동과 관련된 원가 형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준변동원가인 전기료, 수도료와 같이 특정 원가가 고정원가에 해당하는지 또는 변동원가 성격을 갖는지를 판단하기가 모호한 경우가 많다.
둘째, 수익과 원가의 형태는 관련 범위 내에서 선형이라고 가정한다. 즉, 단위당 판매단가는 매출 수량의 변동과 관계없이 일정하고, 단위당 변동원가 역시 조업도의 변동과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현실적으로 생산량이 증가하면 총원가의 기울기인 한계 원가는 학습효과나 능률의 향상 등으로 인해 곡선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CVP분석은 주로 단기간의 의사결정 문제에 이용되므로 관련 범위 내에서는 총수익과 총원가는 선형이라고 가정한다. 
셋째, 생산량과 판매량은 같다고 가정한다. 즉, 생산량이 모두 판매된 것으로 가정함으로써 기초 재고자산과 기말재고자산이 손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넷째, 복수제품인 경우 매출 배합은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매출 배합이 일정하다는 것은 결국 한 종류의 제품만을 생산한다는 것과 동일한 개념이 된다. 만일 매출 배합이 일정하지 않고 수시로 변경된다면 각기 다른 공헌이익을 가지는 여러 가지 제품 판매량의 변화 때문에 하나의 손익분기점이 아닌 여러 개의 손익분기점이 도출되기 때문이다. 
다섯째,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하지 않는 분석이라는 가정이다. 즉, 현재 가치개념을 사용하지 않고 명목가치로만 수익과 비용을 평가하여 의사결정을 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화폐의 시간가치를 배제하는 단기 모델이라는 점과 화폐가치가 변할 수 있는 인플레이션을 무시한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3. CVP분석의 기본개념

1) 공헌이익
공헌이익이란 매출액에서 변동원가를 차감한 금액을 말하는 것으로서 고정원가를 회수하고 기간 이익 획득에 이바지할 수 있는 금액을 뜻한다. 

2) 공헌이익률
공헌 이익률(CM %)이란 공헌 이익의 개념을 비율 개념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총 공헌 이익을 총매출액으로 나누어서 계산할 수도 있고 단위 당 공헌 이익을 단위 당 판매 가격으로 나누어서 계산할 수도 있다.
공헌 이익률은 매출액 중 몇 퍼센트가 고정 원가의 회수 및 이익 창출에 공헌하였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매출액의 변화가 기업의 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때 공헌이익보다 유용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공헌 이익이 \10으로 동일한 A, B 두 제품이 있을 경우 어느 제품을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사 결정할 때 공헌 이익률은 합리적인 판단 기준을 제공한다. 즉, A의 가격은 \50, B의 가격은 \40일 때 공헌이익률 개념을 도입하면 A의 공헌이익률은  20% , B의 공헌이익률은 25%로서 B를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판단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공헌이익률은 기업의 생산 형태 또는 원가구조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원가구조는 기업의 원가 항목 중에서 변동원가와 고정원가가 차지하는 상대적인 비율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일반적으로 노동집약적인 생산 형태에서는 노무원가와 같은 변동원가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공헌이익률이 낮게 나타나고 자본 집약적인 생산 형태에서는 시설자금에 투자된 고정원가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공헌이익률이 높게 나타난다.

4. CVP분석

1) 손익분기점 계산

(1) 등식을 이용한 손익분기점 계산
손익분기점은 총매출액이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를 포함한 총원가와 같아지는 판매량 즉, 이익을 0으로 만드는 판매량을 말한다. 또한, 총공헌이익과 총 고정원가가 같아지는 판매량으로도 정의할 수 있다. 

2) 도표를 통한 손익분기점 계산
(2) 원가· 조업도· 이익 도표(CVP도표)
CVP도표는 조업도의 변동에 따른 수익, 비용 및 이익을 변동을 도표로 나타낸 것으로서 경영자가 일정 범위의 조업도에서 원가, 조업도, 이익의 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3) 영업레버리지

레버리지란 사전적인 의미로는 작은 힘으로 큰 물체를 움직일 수 있는 지레 장치를 뜻하고, 경영학적 의미로는 매출이나 자산의 작은 증가로 큰 이익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는 방법을 의미한다. 레버리지의 종류에는 영업레버리지와 재무레버리지가 있는데 영업레버리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영업레버리지는 고정영업비용의 지출을 수반하는 자산의 보유 정도를 말하며, 영업레버리지 분석은 매출액의 변화에 대한 영업이익 변화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매출액 변화와 영업이익 변화와의 관계는 영업레버리지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매출액의 변화율에 대한 영업이익의 변화율을 의미하며, 이를 산식으로 정리하면 영업이익에 대한 공헌이익의 비율이 된다.  

728x90
반응형

'전산회계,세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원가계산  (0) 2022.11.10
개별원가계산제도  (0) 2022.11.10
활동기준 경영관리 (ABM)  (0) 2022.11.09
활동기준원가계산  (0) 2022.11.09
원가회계의 기본 개념  (0) 2022.11.08